top of page
흩어지고 떠도는 의식들의 정박 시(時), Monday 3PM
조지현(우민아트센터 학예팀장)
별스러울 것 없는 일상에서 누군가에게 설명 거리도 되지 못할 사사로운 감정들의 미세한 변화, 어떤 식으로든 표현되지 못한 관념들은 의미 없음과 등가적일까. 작가는 전시 명으로 월요일 오후 3시를, 먼지처럼 소리 없이 켜켜이 쌓이는 하루 속에서 ‘현재’의 ‘나’를 자각하는 기준 시로 설정한다. 머릿속에 떠올랐다가도 금세 지워진 무수한 생각들, 색색의 마음들은 어디론가 흩어지거나, 침묵 속에서 관계 사이를 떠돈다. 작가는 일상 속에 무수히 변화하는 자신의 의식과 내밀한 감정들의 관찰자로서 오후 3시라는 구체적 시점으로 뭉뚱그려지는 실존에 대한 자각 장치를 통해 복잡한 감정들과 의식의 결들을 심리적이고도 투사적인 형상들을 통해 진술해낸다. 어쩌면 이는 삶이라는 보편을 담는 작가의 개별적이고도 자의적인 의식적 반응이라고도 설명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살아내는 과정이 죽어가는 일과 동시 발생적인 삶이라는 부조리 위에 아직 오지도 않을 미래를 기대하기보다 마주한 현재를 온전히 살아내고 자 하는 작가의 삶에 대한 아포리즘이 상징화된 것으로도 해석될 수 있다. 작가는 몇몇 단어들로는 나타낼 수 없는 내밀하고 세밀한 관념들을 구체적이고도 몽환적인 형상을 통해 너무 무겁지 않은 어투로 삶에 관해 이야기 한다. 삶이라는 것이 어차피 어떤 고정된 결론을 향해 나아가는 것도 아니고 정돈되고 단단하기만 한 게 아니라 모나고 찌그러진 ‘지금’들이 연속인 시간이 집합체이듯 작가는 현재를 삶의 무수한 부분으로서 아닌 삶 전체로 바라본다.
작가는 이러한 월요일 오후 3시라는 기준 시의 장치를 통해 일상의 내러티브를 소거한 체 자기 자신과 의식들을 거리를 두고 바라보는 시도로서 남겨둔다. 일상 속에 스치는 관념들의 구체적인 형상이라고 설명하기엔 작가의 화면에 보이는 시간적, 공간적인 설명이 제거된 이미지들은 쉬이 설명되지 않을 비밀스러운 몸짓과 꿈을 꾸는 듯한 공허한 눈빛의 인물들과 생경한 사물들의 조합으로 자각몽 상태의 재현인 듯 현실과 허구의 경계 선상에 위치한다.
서정배의 작업은 단편적으로는 불확정성이라는 모순 더미의 삶의 기본조건 위에 권태롭고 허무한 심리의 충동적 발현으로도 해석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삶이 짜인 대본 없이 앞뒤 아무런 개연성 없이 진행되기도 하는 불합리하며 부조리한 삶의 허무를 견뎌내기 위한 자기 분열적 심리적 충동은 작가에게 작업을 지속시키게 만들었던 이중적인 기제였음은 분명해 보인다.
작가는 자기현존적 의식의 자각을 통해 순간 스쳐 지나가는 하루에도 수십 번 뒤바뀌는 감정들과 의식들을 순간의 삶 전부인 것처럼 오롯이 담아낸다. 이러한 행위를 통해 그녀가 결과적으로 하고 싶은 이야기는 무엇일까, 결국 삶은 결코 논리로 이해되거나 합리적일 수 없음에 대해, 아이러니한 삶 그 자체에 대한 물음일지도 모른다. 며칠 전 인터뷰 도중 오늘 당장 죽는다고 해도 아무런 후회가 없을 것 같다는 그녀의 말이 귀에 맴돌았다. 그만큼 후회 없이 복잡다단한 삶의 엉킴 속에서 작가는 현재의 자신을 지속해서 들여다보길 원하고 이러한 실존에 대한 자기 의식적 행위를 통한 자신의 삶에 대한 고민 그 자체를 화면에다 떼어다 놓았는지도 모른다. 작가는 이처럼 삶에 내재한 우울함과 의외성, 영문도 모른 채 우연히 삶으로 내 던져진 존재에 대해, 모든 철학이 하나의 무의식적 자기 고백이 듯 삶이라는 거대한 역설 앞에 철학적이고도 자기 완결적인 진술로서 그려낸다.
Monday 3pm_654×78cm_Drawing on tracing paper with pencil and acrylic_2017
Anchorage of the scattered, floating consciences - poem, Monday 3 PM
CHO, Ji-Hyun
Chief curator of Woomin Art Center
In everyday life without any special moment, there exist small changes of personal feelings that do not even deserve any explanation to someone, or ideas that could not even expressed in some way or another. Are they meaningless? The artist titled her exhibition “Monday 3PM”, a standard time when one can realize a ‘present’ ‘self’ in the middle of a day which is accumulated silently like dust. Innumerable thoughts that arise in mind then soon disappear, those minds of all colors are scattered into somewhere or float between relationships in silence. The artist, as an observer of her conscience that changes constantly and her intimate feelings, describes complicated layers of her emotions and consciences with psychological and projective figures, through a cognitive device of existence converging toward one specific time, which is ‘3PM’. This might be explained as her individual, arbitrary reaction of conscience to contain a generality which is the life. In addition, facing the absurdity of life, that process of life is happening at the same time as process of dying, the artist may express her aphorism on life in a symbolic way, aspiring to live completely the present in front of her rather than expecting the future that is not yet arriving. The artist tells about life with intimate and detailed thoughts that cannot be expressed with a few words, through specific, dreamlike figures, with a tone not so heavy. As a life is not a firm and organized itinerary toward a fixed conclusion, but a union of uneven, disfigured ‘now’s, the artist regards the present as an entire life, not as one fragment out of numerous parts of life.
The standard time device of ‘3pm’ enables the artist to delete the narrative of everyday life and to leave herself and her consciences to be contemplated from a certain distance. The images on her screens, without any reference of time and space, are not explained as concrete figure of thoughts passing by in our daily life. They are rather located on the frontier of reality and fiction, as if they are reproduction of a state of lucid dream, a kind of combination of secret gestures, people with dreaming, vacant eyes, and unfamiliar objects.
The works of Seo Jeong-Bae can be interpreted primarily as an impulsive revelation of a bored, nihilistic mind based on the basic condition of life, full of contradiction of uncertainty. But it seems evident that the split, psychological impulse functioned on the other hand as a double mechanism that encouraged the artist to endure the futility of illogical and absurd life without any probability or a prearranged plan, and to continue to work as an artist.
Aware of the conscience of presence of self, the artist expresses fully in her works the emotions and consciences that change multiple times a day, as if they were the entire life for that moment. What would be the message that she eventually would like to transmit through these acts? That might be the question on the irony of life itself, that the life can eventually never be understood or be rational. I remember some days ago during an interview, she said she would not have any regrets even if she died on the very day. As much, she wants to keep looking into herself in the complicated tangle of life, transferring her concerns about life to the screen by self-aware acts about existence. She describes the melancholy and unexpectedness implied in life, our existence thrown into the life without knowing the reason, with her philosophic, self-completing statements face to the big paradox that is life. After all, all philosophies are a kind of unconscious self-confession.
*An aphorism is a short sentence which expresses a profound truth in a simple, implicative way.
bottom of page